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디지털 노마드 현실 – 퇴사 후 해외 근무기 퇴사 후 떠난 첫 해외 근무지에서 배운 것들1. 퇴사, 그리고 비행기 한 장평범한 직장인이었던 나는 5년간의 직장 생활을 접고, 노트북 하나 들고 해외로 나왔다. 사직서를 낸 날, 가장 먼저 한 건 항공권 예약. 목적지는 ‘치앙마이’였다.낭만만 꿈꿨던 그때는 몰랐다. 디지털 노마드의 삶엔 현실적인 요소도 많다는 걸.2. 노트북 하나로 시작한 리모트 워크내가 하는 일은 블로그 콘텐츠 제작과 마케팅 기획, 번역과 소셜 미디어 운영이다. 대부분의 일은 노트북과 와이파이만 있으면 가능했다.치앙마이의 카페 문화는 정말 훌륭하다. 카페마다 콘센트, 와이파이, 조용한 분위기가 잘 갖춰져 있어서 작업하기 편하다. 3. 현실은 마냥 여유롭지 않다여행과 일이 공존하는 삶이라고 해서 매일이 자유롭기만 한 건 아니다. 시차에.. 2025. 4. 20.
제주살이 프리랜서 도전기 - 퇴사 후 이주 회사 생활을 정리하고, 제주에서 새 삶을 시작하다1. 퇴사 후, 제주도로 떠나다서울에서 7년간 직장 생활을 하다 결국 나는 퇴사를 선택했다. 반복되는 야근과 점점 무뎌지는 일상 속에서 '나만의 삶'을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커졌고, 고민 끝에 제주도로 이주를 결정했다.프리랜서로 일할 기반은 조금씩 다져놓았기에, 무작정 떠나는 도전은 아니었다. 다만, '제주살이'는 단순한 여행이 아닌, 진짜 '생활'이었다.2. 프리랜서로서의 하루, 제주에서아침은 바다 소리와 함께 시작된다. 동네 카페에서 커피를 테이크아웃하고, 숙소 근처 산책로를 걷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업무는 주로 콘텐츠 제작, 온라인 마케팅, 블로그 글 작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전은 집중 근무 시간으로 정해두고, 오후엔 피드백 및 기획 시간을 가진다.. 2025. 4. 19.
"퇴사하고 지방으로 내려온 프리랜서의 하루 – 느리지만 단단한 일상" 퇴사하고 지방으로 내려온 프리랜서의 하루 – 느리지만 단단한 일상 퇴사 그리고 지방살이 시작서울에서의 빠듯한 일상 끝에, 나는 결국 퇴사를 선택했다. 그리고 선택한 건 ‘지방살이’라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물론 쉽지만은 않았지만, 프리랜서로 전환하면서 조금씩 나만의 리듬을 찾아가고 있다.오전 7시 – 여유 있는 아침이전 회사 다닐 때는 눈 뜨면 지옥철부터 걱정했지만, 지금은 동네 소리로 하루를 연다. 7시에 기상해서 간단히 스트레칭, 그리고 직접 내려 마시는 핸드드립 커피 한 잔. 뉴스 브리핑과 메일 확인으로 가볍게 하루를 준비한다.오전 9시 – 집중 근무 시간작업은 주로 블로그 콘텐츠 제작, SNS 브랜딩, 번역 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의 조용한 분위기 덕분에 집중이 잘 되고, 일 효율도 꽤 높.. 2025. 4. 19.
서울 프리랜서 삶: 퇴사 후 현실 정착기 퇴사의 순간, 자유와 불안 사이회사 생활 7년 차, 나는 결국 사직서를 제출했다. 월급날의 기쁨보다 반복되는 야근과 무의미한 회의가 더 큰 무게로 다가왔다. 그렇게 나는 ‘프리랜서’라는 타이틀을 선택했다. 처음엔 자유로움이 전부인 줄 알았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복잡했다.프리랜서의 현실: 자유, 그러나 불안정서울에서 프리랜서로 산다는 건 생각보다 많은 것을 필요로 한다.가장 먼저 마주한 건 수입의 불규칙함이었다. 월급이 꼬박꼬박 들어오던 시절과 달리, 프리랜서는 일이 있을 때만 돈을 번다. 이 때문에 월별 예산표를 짜고 고정지출을 최소화하는 연습부터 시작해야 했다.또 하나는 자기 관리의 어려움이다. 출근 시간이 없다는 건 곧 업무 시간이 무너질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나는 매일 오전 9시에 카페로 출근.. 2025. 4. 14.
MZ세대 퇴사 이유 (프리랜서가 답일까?) MZ세대 퇴사 이유: 프리랜서가 답일까?최근 몇 년 사이, ‘퇴사’라는 단어가 더 이상 부정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직장을 떠나는 움직임은 점점 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죠.하지만 단순히 “자유를 원해서”라는 이유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인 배경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MZ세대가 왜 퇴사를 결심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 선택지로서 프리랜서가 과연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해보겠습니다.1. MZ세대는 왜 퇴사하는가?MZ세대는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일의 의미’, ‘자아실현’, ‘워라밸’에 높은 가치를 둡니다. 단순히 생계를 위한 노동보다는, 삶과 일의 균형, 내가 하는 일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죠.그래서.. 2025. 4. 14.
직장인 퇴사 후 생존기: 자유냐, 불안이냐 “퇴사하면 얼마나 좋을까?”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겁니다. 매일 반복되는 출퇴근, 끊이지 않는 업무와 눈치 싸움 속에서 ‘자유’라는 단어는 늘 선망의 대상이 됩니다.하지만 막상 퇴사를 하고 나면, 생각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현실이 기다리고 있는데요. 자유로운 삶 뒤에는 생각보다 큰 불안과 책임이 따라오기도 하니까요. 오늘은 제가 겪은 ‘퇴사 후 생존기’를 솔직하게 공유해 보려 합니다.1. 퇴사, 그 찰나의 해방감사직서를 제출하던 그날, 저는 정말 가벼운 기분이었습니다. 상사의 눈치도, 끝나지 않는 야근도 더 이상 없다는 사실에 가슴이 뛰었죠. 그동안 하고 싶었던 여행, 취미, 그리고 나만의 시간들을 상상하며 진정한 해방감을 느꼈습니다.하지만 그 기쁨은 오래가지 않았.. 2025. 4. 14.